반응형

아카이브 178

SSH란 ?

제가 SSH라는 단어를 접하게 된건 aws를 통해 EC2 인스턴스에 접근할 때, 명령문 젤 앞단에 위치 해있던 모습입니다. 지금까지는 '원격 접속을 위한 것이구나' 하고 넘어 갔지만, 이제는 잘 알고 쓸 때가 되지 않았나 싶어 개념과 동작원리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SSH란? '시큐어 셸(Secure Shell, SSH)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원격 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응용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토콜' SSH는 매우 유용하게 쓰입니다. 네트워크 환경에만 있으면 물리적으로 기기에 접근하지 않고 원격 접속을 통해 컨트롤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SSH는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쓰게되는데, 주로 원격으로 시스템을 관리한다던가, 커맨드를 ..

아카이브 2020.06.23

HTTP와 HTTPS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받게 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프로토콜입니다. 웹 서핑을 하다보면 흔히 보게되는 HTTP인데요, 이 HTTP에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문제점 HTTP 통신을 하게 되면, 서버에서부터 브라우저로 전송되어오는 정보가 암호화 되어 있지 않습니다. 반대의 경우에도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즉, 데이터 전송과정 중간에 도난 당할 수도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죠. 비밀번호 같은 민감한 정보가 암호화 되지 않은채 돌아다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 HTTPS는 HTTP와는 다르게 'S' 하나가 더 붙어있는 형태인데요, 바로 Secure Socket Layer..

아카이브 2020.06.22

AWS lambda 활용하여 이미지 리사이징하기

로컬 환경은 Mac OS, 백엔드 서버는 Linux 환경의 AWS EC2에서 진행하였습니다. 로컬 작업 1. 프로젝트 폴더 제일 상위에 lambda 폴더 생성하기 npm init을 통해 package.json을 생성한다. 이 때 package.json에 정의하는 name이 AWS에서의 lambda의 이름으로 지정됩니다. 2. package 설치하기 npm i aws-sdk sharp 3. lambda/index.js const AWS = require('aws-sdk'); const Sharp = require('sharp'); const S3 = new AWS.S3({ region: 'ap-northeast-2' }); exports.handler = async (event, context, callb..

아카이브 2020.06.18
반응형